입원하게 되면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있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는데요, 가족이 간병을 못하면 간병인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. 이때 간병비가 만만치 않아 고민될 수 있습니다. 이런 고층을 해결해 주는 것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장단점, 비용, 서비스 제공 병원 찾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간호 · 간병통합서비스란...
간호 · 간병통합서비스는 보호자나 간병인 대신에 병원에서 전문 간호 인력이 24시간 동안 환자를 돌보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. 이는 주로 환자가 보호자 없이 병원에 입원한 경우에 제공되며,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협업하여 진행됩니다.
간호 · 간병통합서비스 장점
- 전문 간호 인력의 돌봄: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한 팀을 이루어 전문적인 돌봄을 제공합니다. 24시간 서비스: 보호자나 간병인이 부재해도 환자는 언제든지 전문 간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활동 보조 및 위생 서비스 제공: 거동이 어려운 환자의 일상 활동 보조 (식사보조, 체위변경)와 기본 위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- 간병인 비용 감소: 부담스러운 개인 간병인 비용을 국민건강보험이 적용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.
- 보호자 생활 안정화: 전문 간병 인력이 환자를 체계적으로 돌봐주기때문에 보호자의 일상생활에 지장이 거의 없습니다.
간호 · 간병통합서비스 이용 비용
- 일반 간병인을 개인이 고용하였을 경우: 하루 일당 12~15만원 정도, 월 30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
- 간호·간병통합서비스 이용한 경우: 일반 병동 입원 비용에 하루 약 2~3만원 추가, 월 60만 원 (기본 6인실 기준)
간호간병통합서비스 단점
- 서비스 제공 병원 한정: 모든 병원에서 운영되지 않아 선택 폭이 한정되어 있습니다.
- 1대 1 아님: 1대 1 서비스 아니기 때문에 24시간 내내 돌봄을 받기는 어렵습니다.
- 병문안 시간제한: 보호자의 병문안 시간인 정해져 있어 기본적으로 보호자는 상주할 수 없습니다.
서비스 제공병원 찾기
한국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은 정해져 있습니다. 각 병원은 운영 여부와 진료과목에 따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서울시 시립병원 7곳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서울의료원 | 02-2276-7000 | 서울시 중랑구 신내동 |
보라매병원 | 02-870-2114 |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동 |
어린이병원 | 02-570-8000 |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|
동부병원 | 02-920-9114 |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|
복부병원 | 02-2036-0200 | 서울시 중랑구 망우동 |
서남병원 | 1566-6688 | 서울시 양천구 신정동 |
서부병원 | 02-3156-3000 | 서울시 은평구 역촌동 |
기타 전국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병원은 건강보험 공단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맺음말
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이 모두의 소원입니다. 그러나 불가피하게 입원하게 되었을 때 경제적인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있다는 것을 알아두면 좋겠죠.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해당 병원의 직접 문의를 하여 예약 방법을 확인해야 합니다.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의료 서비스의 핵심입니다.